-
고유번호 : 312-82-73061 | 대표자 : 정하열
(06195)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453, 5층(대치동, 삼익빌딩) - 02-539-2800 kslabp@naver.com
2020 정기학술대회: "프로바이오틱스의 새로운 도전: 식품을 넘어 바이오 치료제까지"
유산균 2021-09-16 11:38 259//갤러리 화면 따로 if ($b_name == 'bo_gallery') { // 선 이미지 후 내용 ?>
2020년 11월 27일(금) 09:00 – 24:00 | e-Conference (http://kslabp.g-conf.org)
1. 개회사
박훈 ((사)한국유산균 · 프로바이오틱스학회 회장)
2. 축사
강대진(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기획관)
권석형(한국건강기능식품 협회장)
3. 세션 I. 장내 미생물
(1) 저항 전분 분해성 장내 비피도박테리움과 분해 효소 연구; 정동현 박사(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)
(2) 장내 바이러스체와 식품 바이러스체; 배진우 교수(경희대학교)
(3) 상온에서 보존액이 담긴 분변을 이용한 메타지놈 분석 방법; 안용주 박사(테라젠바이오)
4. 세션 II. 프로바이오틱스 신 트랜드
(1) 프로바이오틱스 이니셔티브; 임광세 박사(풀무원다논)
(2) 프로바이오틱스의 신트랜드: 박테리오파지 복합 제품; 김재원 박사(CJ 제일제당)
(3) 유제품 안전을 위한 항생제 내성균의 이해; 송수연 교수(전북대학교)
5. 세션 III. 프로바이오틱스 바이오 치료제
(1)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의 관절염 개선 효과; 권민성 박사(세계김치연구소)
(2) 항염 활성 프로바이오틱 김치 종균 Lactobacillus reuteri EFEL; 한남수 교수(충북대학교)
(3) Lactobacillus johnsonii 사균체의 항비만 활성; 오세종 교수(전남대학교)
2022년 (사)한국유산균 · 프로바이오틱스학회 춘계심포지움
2022년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 신년사
존경하는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 회원 여러분!
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았습니다. 지난 2021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여전히 우리 사회가 힘들게 보낼 수 밖에 없었던 많은 아쉬움이 남는 한해였습니다. 이제 시작하는 임인년 올 한 해에는 우리에게 닥친 펜데믹 상황을 극복하고, 회원 여러분과 그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함께 하시는 한 해가 되길 소망합니다.
2021년 한 해도 지속적인 펜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학술 및 인적 교류 활동이 제한적인 한 해였지만, 우리 학회는 회원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2021년 6월 11일에는 ‘뉴노멀 시대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역할’의 주제로 또한 11월 26일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개발: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활용’의 주제로 온오프라인 e-Conference 형태의 정기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. 이를 통해 국내 건강기능식품과 글로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최근 관심사항인 마이크로바이옴과 프로바이오틱스의 현황과 미래를 알아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의 장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.
올해에는 우리 학회지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후보지로 인정을 받고 우리 학회가 아시아유산균학회의 회장국으로 지명됨에 부족하지 않도록 내적으로는 유산균, 프로바이오틱스,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권위있는 학술단체로 도약할 수 있도록 충실을 기하며 외적으로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족하지 않은 학술단체의 위상을 갖출 수 있도록 전체 임원진과 운영위원들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.
우리 학회가 작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번 더 점프업 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, 하시는 모든 일에서 성과를 얻으시고, 늘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.
감사합니다.
2022년 01월
사단법인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
회장 정 하 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