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고유번호 : 312-82-73061 | 대표자 : 정하열
(06195)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453, 5층(대치동, 삼익빌딩) - 02-539-2800 kslabp@naver.com
2021 정기학술대회 : 뉴노멀시대, 프로바이오틱스의 역할 (The role of probiotics in the new normal era)
유산균 2021-07-12 14:01 416//갤러리 화면 따로 if ($b_name == 'bo_gallery') { // 선 이미지 후 내용 ?> } else { // 선 내용 후 이미지 ?>
○ 일 시: 2021년 6월 11일(금), 13:00∼17:00
○ 장 소: 세종대학교 대양AI 컨벤션센터 지하1층 107호 (B107)
○ 주 최: (사)한국유산균∙프로바이오틱스학회
프로그램 (Program)
시간 |
내 용 |
|
---|---|---|
|
개회 (opening) 사회자: 심순미 교수(세종대학교) |
|
13:00∼13:20 |
- 개회사 정하열 회장 (한국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학회) - 축 사 김명철 부회장 (한국식품산업협회) |
|
[Session I] 프로바이오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 좌장: 고종호 교수 (한국폴리텍대학), 김병용 소장 (종근당건강) |
||
13:20∼14:00 |
기조강연1 |
프로바이오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의 현재와 미래 연자: 이동호 교수 (분당서울대병원, 소화기내과) |
14:00∼14:30 |
일반강연1 |
유산균을 활용한 만성간질환의 개선 효능 연자: 석기태 교수 (한림대학교, 소화기연구소) |
14:30~15:00 |
일반강연2 |
Gut-lung axis 와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 연자: 최성미 연구교수 (고려대학교,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) |
15:00~15:20 |
|
Break time |
[Session II] 건강기능식품 정책 및 연구동향 좌 장: 박훈 교수(선문대학교), 문기성 교수(한국교통대학교) |
||
---|---|---|
15:20~16:00 |
기조강연2 |
코로나 이후의 건강기능식품 개발과 전망 연자: 박성선 전무 (종근당건강) |
16:00~16:30 |
일반강연3 |
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원료의 안전성 평가 연자: 윤태형 연구관 (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기능연구과) |
16:30~17:00 |
일반강연4 |
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기능성 식품 AI diet 설계 플랫폼 개발 연자: 김지영 연구교수 (서울대학교 식품바이오융합연구소) |
2022년 (사)한국유산균 · 프로바이오틱스학회 춘계심포지움
2022년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 신년사
존경하는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 회원 여러분!
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았습니다. 지난 2021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여전히 우리 사회가 힘들게 보낼 수 밖에 없었던 많은 아쉬움이 남는 한해였습니다. 이제 시작하는 임인년 올 한 해에는 우리에게 닥친 펜데믹 상황을 극복하고, 회원 여러분과 그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함께 하시는 한 해가 되길 소망합니다.
2021년 한 해도 지속적인 펜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학술 및 인적 교류 활동이 제한적인 한 해였지만, 우리 학회는 회원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2021년 6월 11일에는 ‘뉴노멀 시대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역할’의 주제로 또한 11월 26일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개발: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활용’의 주제로 온오프라인 e-Conference 형태의 정기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. 이를 통해 국내 건강기능식품과 글로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최근 관심사항인 마이크로바이옴과 프로바이오틱스의 현황과 미래를 알아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의 장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.
올해에는 우리 학회지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후보지로 인정을 받고 우리 학회가 아시아유산균학회의 회장국으로 지명됨에 부족하지 않도록 내적으로는 유산균, 프로바이오틱스,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권위있는 학술단체로 도약할 수 있도록 충실을 기하며 외적으로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족하지 않은 학술단체의 위상을 갖출 수 있도록 전체 임원진과 운영위원들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.
우리 학회가 작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번 더 점프업 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, 하시는 모든 일에서 성과를 얻으시고, 늘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.
감사합니다.
2022년 01월
사단법인 한국유산균·프로바이오틱스학회
회장 정 하 열